연 도
- 일 시: 2017년 7월7일 (목요일) 오전 7시 미사 후
- 장 소: 회관
장 례 미 사
- 일 시: 2017년 7월8일 (금요일) 오전 10시30분
- 장 소: 본당
- 장 지: 홀리크로스 (신부님과 연령회 임원 참석, 버스대절 없음)
연 도
장 례 미 사
주님,
저희가 주님 제단에 봉사하는
거룩한 직무를 감당하도록
베풀어 주신 은총에 감사하나이다.
오늘 부족했던 점은 일깨워 고쳐 주시고,
주님 제단에 봉사하는 이 거룩한 직무를
더욱 소중히 여겨, 더 잘 감당하게 도와주소서.
또한, 주님의 제단에 부름 받은 저희 복사들이,
세상 속에서도 주님 곁에 늘 머물러
주님만을 섬기고 사람을 돕는 삶을 살게 하시고,
오늘 잔치에 참여한 주님의 백성들이
주님께 받은 은총으로 더욱 사랑하고,
세상에서 주님과 함께 복음을 실천하며,
주님의 평화를 전하는 사도가 되게 하소서.
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.
아멘.
천주의 성모 마리아님,
저희 복사들의 손과 발이
모든 이들을 위해 언제나 봉사할 수 있도록 빌어주소서.
저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,
주님의 거룩한 잔치에 저희를 초대하시고,
하찮은 저희를
주님 제단의 봉사자로 부르셨으니 감사하나이다.
지금 바치려는 이 제사가 주님께 찬미와 영광이 되도록
주님 제단에서 정성껏 봉사하고자 하오니,
저희를 도와주소서.
주님의 성체성혈을 이루는 사제를 돕는 저희 복사들이
주님 제단에 서기에 맞갖은 준비를 갖추게 하시고,
이 잔치에 초대된 주님의 백성들이
주님께 한가지로 정성된 제사를 바치고
이 잔치 가운데에서 주님을 만날 수 있도록,
저희를 도구로 써 주소서.
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.
아멘.
성 타르시키우스(Tharsicius, 또는 타르시치오)의 행적에 대한 것은 교황 성 다마수스 1세(Damasus I, 12월 11일)가 그에게 바친 “성체를 위한 소년 순교자”라는 헌시에 언급된 것이 전부이다. 교회의 전설에 의하면 그는 복사의 수호성인들 중의 한 사람으로, 소년다운 용기와 신앙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.
그에 관한 전설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. 그가 살던 3세기 말경에 많은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박해를 받았다. 한번은 미사가 끝난 후 신부가 감옥에 갇혀 있는 신자들이 성체를 모시지 못하는 것을 아쉬워하였으나, 아무도 감히 감옥까지 성체를 모시고 갈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. 가는 도중에 이교도들에게 붙잡혀 죽음을 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. 이때 어린 성 타르시키우스가 나서서 그 일을 자청하였다. 너무 어린 것을 걱정하는 신부에게 그는 자신이 어리기 때문에 경비병을 속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, 신부도 이 말에 동의하였다. 그래서 그는 성체를 모시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.
그런데 그는 감옥으로 가는 길에 친구들을 만났다. 그들은 성 타르시키우스에게 같이 놀자고 했지만 그는 급한 일이 있다며 거절하고 서둘러 가려 하였다. 그런데 한 친구가 그의 손에 있는 성체를 발견하고 빼앗으려 하자, 이를 거부하는 성 타르시키우스와 친구들 간에 싸움이 벌어지고 급기야는 친구들이 돌로 그를 쳤다. 이때 지나가던 군인이 다가오자 친구들은 도망갔고, 그는 온몸에 피를 흘리면서도 자신을 주교에게 데려다 줄 것을 부탁하여 주교에게 성체를 감옥에 갇혀 있는 신자들에게 전해 줄 것을 부탁하며 숨을 거두었다. 이 이야기는 영국의 추기경 와이즈먼(Wiseman)의 소설 “파비올라 혹은 카타콤바의 교회”(Fabiola or the Church of the Catacomb, 1854)의 소재가 되어 더욱 유명해졌다. 성 타르시키우스는 복사와 첫영성체하는 어린이들의 수호성인이다. 그는 타르키시우스(Tarcisius)로도 불린다. (출처: GoodNews/가톨릭정보)